돈 공부7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테그 플레이션) 쉬운 설명 인플레이션 - 일정 기간 동안 물가가 지속적이고 비례적으로 오르는 현상, 혹은 화폐가치가 지속적이고 비례적으로 떨어지는 현상. 경제성장은 대개 인플레이션을 동반한다. 인플레이션이 심해지면 초인플레이션이 된다. cf. 물가상승은 소비 증가 또는 공급 감소로 일어난다. 디플레이션 - 인플레이션과는 반대로 물가가 뚜렷하게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으로 정의된다 cf. 물가 감소는 소비 감소 또는 공급 증가로 일어난다. 스태그플레이션 - 경기가 침체되는 상황에서 물가가 상승하는 상태를 의미 보통 상식적인 수준에서는 경기 호황 상태에서 수요 증가와 기대 심리로 물가가 오르고 (인플레이션) 경기침체 상태에서는 수요 감소와 불안 심리로 물가가 내려가는 것이 보통이다. (디플레이션) 그러나 경기침체 상태에서 물가가 오르.. 돈 공부/경제 공부 2022. 5. 27. 물가가 오르는 이유 (경제가 성장하기 때문) 물가가 오르는 이유중에 하나는 경제가 꾸준히 성장해 왔기 때문입니다. 물가가 오르지 않는 경제성장은 없습니다. 인플레이션이 꼭 필요한 이유지요. 물론, 어느정도가 적절한지는 매년 다릅니다. 물건 생산 물건 잘 팔림 (잘 벌리니) 직원 급여 인상 (더 많이 벌기위해) 물건 가격 인상 (급여 인상되었으니 큰 고민 없이 소비) 물건 잘 팔림 (잘 벌리니) 직원 급여 인상 (더 많이 벌기위해) 물건 가격 인상 (급여 인상되었으니 큰 고민 없이 소비) 물건 잘 팔림 . . . (순환) 배운곳 : 책 오늘 배워 내일 써먹는 경제상식 돈 공부/경제 공부 2022. 5. 27. 금리를 올리는 이유) 쉬운 설명 금리 = 돈의 이자율 금리 인상 = 돈의 가치 인상 금리를 올리는 이유 - 물가가 상승(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금리 인상 = 돈의 이자율 증가 -> 은행 저축 증가 -> 대출 감소 (이자 부담됨) -> 투자 감소 (투자보단 저축하자! - 주식, 코인 떡락) -> 소비 위축 (수요 감소) -> 물가 하락 (안 팔리니까 싸짐.) 금리를 내리는 이유 - 경기침체를 잡기 위해, 소비를 늘리기 위해 금리 인하 = 돈의 이자율 감소 -> 은행 저축 감소 -> 대출 증가 (이자 낮아지니까) -> 투자 증가 (이자 낮으니 팍팍 투자 - 주식, 코인 떡상) -> 소비 증가 (수요 증가) -> 물가 상승 (사려는 사람 많아서 싸짐.) ※ 경제는 워낙 변수가 많아서 다른 결과가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돈 공부/경제 공부 2022. 5. 25. 돈을 세는 것 만으로도 통증이 줄어든다. 그중 한 조에는 80장의 지폐를 세도록 했고. 다른 한 조에는 지폐와 같은 크기의 종이 80장을 세도록 했다. 이 후 뜨거운 물에 손가락을 넣고 얼마나 버틸 수 있는지를 실험했다. 한 조의 학생들에게는 50℃의 물에 30초 동안 넣고 있으라고 했고 다른 한 조는 43℃의 물에 30초 동안 넣고 있게 했다. 50℃는 인간의 피부가 견딜 수 있는 온도의 한계보다 높아 고통을 줄 수 있는 온도다. 반대로 43℃는 아주 적당하고 따뜻한 온도다. 그런 다음 학생들에게 각각의 물에 손가락을 넣었을 때 얼마나 아팠는지를 물어봤다. 흰 종이를 셌던 학생들은 50℃ 물에 손을 담갔을 때 매우 아팠다고 했다. 하지만 돈을 셌던 학생들은 같은 온도의 물에서 아픔을 느끼지 못했다. 하지만 43℃의 물에서는 두 조의 대답 모두.. 돈 공부/돈 관련 심리 2022. 5. 17. 꽁돈, 딴돈 이라는 생각) 돈을 하찮게 쓰게 된다. 같은 돈이어도 공돈이라는 호칭이 붙으면, 사람들은 하찮게 사용한다. 같은 돈이였으면 그렇게 물쓰듯 쓰지 않았을 돈을 말이다. 길에서 주운 돈은, 잊고 있다가 찾은 돈은, 내기로 딴 돈은, 그냥 돈 보다 하찮게 쓰인다. 아직 본전이야 괜찮아.?!?!?! 가령, 도박을 해서 1000만 원을 땄다. 좀 더 하다 보니 1000만 원을 잃었다. 사람들은 보통 본전이라 생각한다. 물어보겠다. 딴 돈은 잃어도 되는 돈인가? 그렇게 생각하는가? 투자자들도 마찬가지다. 내가 투자로 얼마를 벌고 얼마를 날렸을 때 아직 본전 이상이라며 괜찮다고들 말한다. 딴 돈은 잃어도 되는 돈인가? 똑같은 돈인데 왜 잃어도 되는 돈이라 생각하는가? 공돈, 딴 돈, 이라는 프레임은 돈을 하찮게 쓰도록 한다. 돈 공부/돈 관련 심리 2022. 5. 17. 가난한 나라에서 사치품의 소비가 더 많다. 가난한 나라에서 사치품의 소비가 더 많다. 돈 공부/돈 관련 심리 2022. 5. 17. 왜 올인 투자를 하면 안되는지 / 현명한 투자도 실패할 수 있다. 현명한 투자도 날릴 수 있다. 성공 확률이 95프로 이고 실패 확률이 5프로인 투자가 있다. 성공확률이 95프로인 투자에 참여하는 것은 현명한 의사결정이다. 하지만 훌륭한 의사결정도 실패가 나올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현명한 투자라고 모든 것을 건다면 모든것을 날릴 수 있다. 또한, 결과가 실패라는 이유로, 현명한 못한 의사결정이였다고 판단하는 것은 옳지 않다. 현명하지 못한 투자. 멋있고 대담했다?? 실패 확률이 95% 이고 성공 확률이 5% 인 투자가 있다. 성공 확률이 5% 인 투자에 참여하는 것은 현명하지 못한 의사결정이라 볼 수 있다. 현명하지 못한 투자로 돈을 딴 사람은 멋있게 대담했다고 평가받고 현명하지 못한 투자로 돈을 잃은 사람은 바보같이 무모했다고 평가받는다. 사실, 그냥 둘다 .. 돈 공부/투자 관련 심리 2022. 5. 17. 이전 1 다음